집순이 놀이터

구간추정에 대한 개념 본문

Study/데이터분석가

구간추정에 대한 개념

방구석집순이 2022. 7. 22. 16:58

통계적 추론 

통계적 추론이란?
표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분석하여 모수에 관한 결론을 유도하고, 모수에 대한 가설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을 만한다.

 

통계적 추론은 모집단의 일부인 표본으로부터 모집단의 성질을 추론해내는 것이기 때문에 100% 확실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통계적 추론을 할 때는 그 결론의 부정확한 정도를 반드시 언급해야한다. 

 

통계적 추론은 조사자의 관심에 따라 (1) 모수의 추정과 (2) 모수에 대한 가설검정 이라는 두 문제로 나눌 수 있다. (1) 모수의 추정이란 미지수인 모수에 대한 추측 혹은 추측치를 수치화된 정확도와 함께 제시하는 것으로 , - 점추정 : 모수의 값에 가장 가까우리라고 예상되는 하나의 값 제시 - 구간 추정 : 모수를 포함하리라고 예상되는 적절한 구간을 구함(2) 모수에 대한 가설점정이란 모수에 대한 여러가지 가설들이 적합한지 혹은 적합하지 않은것인지를 추출된 표본으로부터 판단하는 것이다.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추정량의 분포를 이용하여 표본으로부터 모수 값을 포함하리라고 예상되는 구간을 제시하는 것. 이 때 제시되는 구간을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이라 부른다.

신뢰구간은 대게 (L,U) 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L 과 U는 표본으로부터 계산된다. 즉, 매 표본마다 계산되는 신뢰구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신뢰구간이 모수를 포함할 확률을 1 보다는 작은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시키면서 구간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좋은 신뢰구간을 만드는 기초다. 

이 때 모수를 포함할 확률을 90% , 95%, 99% 등을 사용하는데, 이 확률을 신뢰수준 ( level of confidence) 또는 신뢰도 라고한다. 

 

 

신뢰구간을 구하는 방법은 출처를 참고하자 

 

출처 : https://leedakyeong.tistory.com/entry/기초통계-통계적-추론방법-구간추정Interval-Estimationㅋ

 

[기초통계] 통계적 추론방법 :: 구간추정(Interval Estimation), 신뢰구간이란? 신뢰수준의 의미, 해석

이전 포스팅에서 통계적 추론 방법 중 점추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 통계적 추론 방법 :: 점추정 바로가기 이번에는 구간추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2)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점추정은 말 그대

leedakyeong.tistory.com